지난 3월 2일자 영남일보 기사에 따르면, 김천대학교(4년제) 신입생 최종 등록률은 2021년 97.2%, 2022년 92.6%, 2023년 85.2%이다. 신입생 충원율이 떨어지면 등록금 수입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
|
|
김천대학교 |
|
등록금으로 학교 재원을 충당하는 현실적 상황에서, 신입생을 충원하지 못하면 재정난은 악화된다. 그러면 학생을 위한 교육과 연구환경 조성에 소홀할 수밖에 없고, 대학의 경쟁력은 하락한다. 경쟁력이 떨어진 대학은 학생과 학부모로부터 외면받고 그것이 심각한 위기를 초래하게 된다.
1978년 12월 28일 개교한 학교법인 김천대학교는, 경제·문화·복지의 중심으로 인재 양성의 역할 그 이상을 담당해왔다. 지역대학으로 인해 지역의 교육이 활성화되고, 경제에 보탬이 된다는 점에서, 김천대학의 위기는 김천 경제에 심대한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학령인구감소로 촉발됐지만, 지방대 위기의 원인은 수도권과 지방 간 불균형이다. 즉, 학령인구 감소뿐 아니라 인적·물적 자원의 수도권 편중과 지방 출신에 대한 취업 차별, 지방의 부족한 정주 여건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다.
김천대학교 위기가 확산이 되면, 지역교육과 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2018년 2월, 전북 남원시 서남대학교 폐교 사례에서 체감했다. 김천시도 김천대학교의 위기 상황에 마냥 손을 놓고 있어선 안 되고, TF팀 구성 등 적극적인 대처에 나서야 한다.
서남대의 폐교로 남원시 20대 인구 유출이 가속화됐고, 경제가 침체에 빠졌던 것을 보았듯, 김천대는 지역 발전의 핵심 주체로서 지역교육의 활성화와 경제에도 보탬이 된다. 김천대학의 구조조정 등 자구노력과 함께 김천시도 중장기 지원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은 그렇게 많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