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more
자치행정 도정

경북도, 야외 활동 철 병원체 매개 진드기 감시 강화

김천신문 기자 입력 2025.04.14 16:28 수정 2025.04.14 04:28

대구·경북 3개 기관 협력 사업 추진으로 도민 건강 보호

경북보건환경연구원은 질병관리청 경북권질병대응센터, 대구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과 협력해 ‘대구·경북권 병원체 매개 진드기 감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한다.

ⓒ 김천신문
사업은 기후변화로 진드기 개체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감염병 발생 위험도 커지면서 3개 기관이 2024년부터 협력해 대구·경북권 내 감염병 유입과 확산을 조기에 인지하기 위해 추진했다.

올해도 4월부터 11월까지 대구·경북 내 5개 지역(대구 수성구·군위군, 경북 경주시·영천시·영덕군)에서 매월 진드기를 채집하고, 이를 분류·동정한 후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evere Fever with Thrombocytopenia Syndrome, 이하 SFTS), 진드기매개뇌염, 큐열, 라임병 원인 병원체 유전자 검사를 한다.

또 리케치아균속, 아나플라즈마증, 에를리키아속 등 3종의 원인 병원체 유전자 검사를 추가해 감염병 발생 위험을 확대 감시할 계획이다.

도가 지난해 감시한 결과, 총 4종 2만 208개체가 채집되었는데, 성장 단계별로 성충은 1,531개체(7.6%), 약충은 3,165개체(15.7%), 유충은 1만 5,512개체(76.7%)가 채집되었다.

특히, 성충과 약충의 경우 작은소피참진드기가 94.2%로 가장 많았고, 개피참진드기, 뭉뚝참진드기, 일본참진드기 순으로 확인되었다.

월별 진드기 종 분포를 분석한 결과, 성충은 5월에 가장 많이 채집되었고, 유충은 8월과 9월에 집중적으로 채집되었다.

ⓒ 김천신문
진드기 감시 사업 결과는 매월 기관별로 공유해 채집 지역의 진드기 종별·발생단계별 밀도를 토대로 매개체와 환자 발생 간 상관관계 분석의 기초자료로 사용한다. 아울러, 각 지자체(보건소)와 협업하여 지역 주민 대상 예방 교육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경북도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올해에도 3개 기관이 협력하여 진드기 매개 감염병을 철저히 감시하고, 주민들의 건강 보호와 예방 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김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